[이코노믹데일리]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확장공사를 둘러싼 내부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공사비 지급이 지연되고 있다. 지역 건설업체들은 자금난에 시달리며 인건비 대출과 이자 부담에 직면했고, 일부 업체는 경영 위기에까지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인천공항공사는 2300억원 규모의 제2터미널 4단계 확장공사비 중 지난 2월 300억원만 지급한 뒤, 나머지 2000억원은 아직 지급하지 않고 있다. 공사비 지급이 지연된 배경에는 시공사와 사업부서, 발주처인 CM사업관리단과 감사부서 간 이견이 첨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확장공사의 총 공사비는 최초 계약 대비 32.4% 증액된 것으로 확인됐으며, 5월 중 설계변경이 승인되면 48% 가까이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설계단계에서 주요 공정과 자재가 누락되거나 과소 반영됐다는 건설업계의 문제 제기를 뒷받침한다.
한 인천지역 전문건설업체 관계자는 “현장에서 30년 넘게 일했지만 이처럼 도면이 수시로 바뀌는 경우는 처음”이라며 “설계가 미비한 상태에서 현장 수정 지시가 반복되며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사비가 48% 가까이 늘어났지만 준공기한은 그대로였다”며 “지역 사회와 시공사가 개항 일정을 맞추기 위해 협력했지만 정작 대금은 받지 못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다른 시공사 관계자는 “현장 인건비 지급을 위해 억 단위의 자금을 빌렸고, 이자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라며 “공사비 지급이 더 늦어질 경우 현장 운영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 건설업체들은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위원회와 국회의원실에 피해 사실을 전달하고 사태 해결을 촉구했지만,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감사원 컨설팅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공사비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건설사들의 어려움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며 “감사원 컨설팅 결과가 이달 중 나올 예정이며, 5월 중 계약 변경을 통해 공사비 지급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공사비 지급 지연 사태는 단순한 계약 문제를 넘어 공공 발주기관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히 설계 미비로 인한 설계변경과 공정 누락이 반복되는 가운데,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상태에서 건설사가 사실상 위험을 떠안고 있는 구조가 개선되지 않는 한 유사 사례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