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4%로 전월 말(0.52%) 대비 0.08%p 감소했다. 전년 동월(0.38%)과 비교했을 땐 0.06%p 상승했다.
이는 연체 채권 정리 규모가 4조3000억원으로 전월(2조원)보다 2조3000억원 늘어났고,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5000억원으로 전월(2조8000억원)보다 3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 펜데믹 때 시행한 지원이 점점 사라지고 금리가 오르면서 전년 동월보다 연체율이 상승했다”라며 “코로나 이전 2010~2019년 평균 연체율(0.78%)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봤을 때 12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60%)보다 0.10%p 하락해 0.50%를 기록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03%로 전월 말과 같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75%) 대비 0.13%p 떨어진 0.62%다.
중소법인 연체율은 0.14%p 하락한 0.64%,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11%p 감소한 0.60%였다.
전년 동월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09%p,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14%p 올랐다. 중소법인 연체율과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이 각각 0.16%p, 0.12%p 오른 결과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8%로 전월 말(0.41%) 대비 0.03%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연체율은 전월 말(0.27%)보다 0.01%p 내려 0.26%,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82%) 대비 0.08%p 감소한 0.74%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비 가계대출 연체율은 0.03%p 상승했다. 주담대는 0.03%p,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은 0.08%p 올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은행권이 연체 우려 취약 차주에 대한 채무 조정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고 적극적인 부실채권 상·매각 및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