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멕시코를 생활가전 생산 거점으로 두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된 물량이 미국으로 수출된다. 삼성전자는 케레타로, LG전자는 티후아나에 공장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애초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MSCA)을 활용해 무관세로 미국 시장에 제품을 팔기 위해 멕시코 현지에 진출한 이들 기업의 미래가 불확실해졌다. 새 정부가 관세 정책을 강행할 경우 현지 공장 운영의 장점이 없어질 수 있어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멕시코산 제품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를 대비해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생산 기지는 멕시코 뿐만 아니라 한국, 동남아 등 다양한 공급망을 갖추고 있는 만큼 지역별 물량 조절로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아직까지는 관세 부과 지역은 물론 제품·부품, 원재료 등 관세 기준이 정해지지 않아 추후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이달 초 열린 세계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삼성은 전 세계에) 공장을 꽤 많이 갖고 있고 어느 한 곳에 집중하지 않고 있다"며 "부품 공급부터 제조, 소비자에게 이르는 글로벌 공급망도 잘 형성돼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도 "같은 모델을 여러 군데서 만드는 체제, 우리만의 플레이북을 가지고 시나리오별 방안을 준비해 놨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 가전업계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미국 생산기지를 증설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LG전자는 테네시주에 세탁·건조기 공장을 운영 중인데 생산을 늘릴 여력이 있기 때문이다.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물론 보편 관세까지 현실화될 경우 미국 공장 생산라인과 생산 품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가전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관세 정책이 발표되지 않은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대응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며 "어떤 상황이 닥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