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ELS 빈자리 '방카' 채우기 역부족…은행 경쟁력 '글쎄'

지다혜 기자 2024-03-26 05:00:00
고금리 예·적금 증가…보험권 의존도도 '뚝' 긴 만기 부담…높은 수수료 상품 가격 반영
서울 시내 한 은행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은행들이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여파로 ELS 판매를 잠정 중단한 가운데 그 빈자리를 방카슈랑스(은행에서 판매하는 보험)로 메우고 있지만 녹록지 않은 모습이다. 새 회계기준(IFRS17)안에서 부채로 인식되는 저축성 상품이 대다수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우려에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시중은행은 ELS 판매가 중단된 후 대체 금융상품 중 하나로 방카슈랑스 판매에 나서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투자 상품을 적극적으로 권하기 힘든 분위기"라며 "빠진 수익 부분을 채우기 위해 방카슈랑스를 추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카슈랑스는 프랑스어인 은행(Banque)과 보험(Assurance)의 합성어다. 2003년 8월부터 도입된 제도로 은행과 보험사가 제휴해 보험상품을 은행 창구에서 고객에게 위탁판매하고 수수료를 받는 방식이다.

2003년 저축성·상해보험 판매를 시작으로 2005년 순수보장성보험, 이듬해엔 만기환급형보험 상품으로까지 확대됐다. 하지만 2008년 4단계 시행 계획이 철회되면서 종신·자동차보험은 불완전판매 방지 이유 등으로 취급이 제한됐다.

은행들이 방카슈랑스에 드라이브를 걸었지만 쉽지 않은 것은 실적으로 방증 된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이 지난해 방카슈랑스 판매로 거둔 수수료는 2575억원으로 전년(3215억원) 대비 19.9%(640억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1100억원에서 740억원으로 33.2% 줄었고, 국민은행이 1310억원에서 1020억원으로 22.1%, 신한은행이 399억원에서 349억원으로 12.5% 감소했다. 반면 하나은행은 406억원에서 466억원으로 14.7% 늘었다.

판매량 하락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IFRS17 안에서 부채로 인식되는 연금보험 등 저축성 상품이 방카슈랑스 전체 판매 상품의 70~80%를 차지하며 주를 이루고 있어서다. 저축성보험은 고객에게 돌려주는 환급금이 커 보장성보험과 다르게 보험료가 부채로 인식된다. 특히 높은 금리의 예·적금 상품도 늘면서 저축성보험은 경쟁력을 잃었다.

아울러 보험사들은 지난해 IFRS17이 도입되자 저축성보험 판매를 줄이고 수익 확보에 유리한 보장성보험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방카슈랑스 의존도까지 더 떨어진 셈이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생보사의 방카슈랑스 월납 환산 초회 보험료는 79억5600만원에 달했지만 12월에는 56억1800만원으로 41% 감소했다. 월납 환산 초회 보험료는 신규 가입자로부터 얻은 보험료를 월 납입액으로 환산한 값을 말한다.

방카슈랑스는 ELS 대비 만기가 길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ELS는 만기가 통상 3년이고 일정 조건 충족 시 6개월 단위로 조기상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방카슈랑스 상품은 납입기간이 최대 20년에 달한다. 여기에 보험사가 가져가는 운용비로 인해 높은 수수료까지 상품 가격에 반영된다.

일각에서는 은행권 방카슈랑스 판매 확대에 한계가 있단 지적이 나온다. 또 다른 관계자는 "IFRS17 영향으로 저축성보험 상품이 줄고 있는데 방카슈랑스로 ELS를 대체하는 건 당연히 쉽지 않을 것"이라며 "판매를 늘리기 위해선 방카슈랑스의 여러 규제를 완화하는 합리적인 개선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방카슈랑스는 △판매상품(종신·자동차보험 불가) 제한 △판매비율(1개 사 25% 이하) 제한 △판매인원(점포당 2인 이내) 제한 △취급업무(보험판매인의 대출업무) 제한 △모집방법(전화·우편·통신 모집행위 금지) 제한 등 5대 규제를 받고 있다. 이에 은행들은 영업 환경 개선을 위한 규제 완화를 주장 중이다.

지난해 9월 김광수 당시 은행연합회장은 "방카슈랑스 이용 고객은 보험상품 선택권과 가입비용 절감 기회를 침해받고 있다"며 "은행은 판매비율 규제로 고객의 필요성보다는 보험사별 상품 판매비율을 우선 고려해야 하고, 그 결과는 소비자의 불이익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판매 채널이 더 추가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설계사들의 반대 등 보험업계의 반대가 만만치 않아 규제 해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설계사 수수료 수입이 은행으로 쏠릴 수 있단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