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전기차 교환형 배터리 상용화, 중국·동남아 '맑음'...국내는 '흐림'

장은주 기자 2023-07-25 15:14:02
교환형 배터리 도입 위해 '규격 표준화' 필수 각 기업 기술력 침해 가능성 있어, 중국·동남아 환경엔 적합
도요타 'RAV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충전 모습.[사진=유대길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전기차 상용화와 함께 다양한 방식의 배터리 충전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지난 몇 년간 업계에서 자주 거론됐던 교환 형식의 배터리는 최근 변화를 거듭한 전기차 시장의 여건상 빠른 상용화는 힘들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이서현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발표한 '배터리 교환식 전기차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따르면 교환식 배터리는 규격 표준화와 같은 한계점에 부딪혀 국내 상용화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 이미 자리 잡은 충전식 배터리가 단점 해소를 위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이유에서다. 

기존 충전식 배터리에 비해 교환식 배터리는 충전시간이나 배터리 회수 등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기존 유선 충전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오히려 필요성은 미미해지고 있다.

최근 현대자동차그룹, 미국 루시드 등은 800V(볼트) 아키텍처를 적용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던 유선 충전 속도를 크게 개선하고 있어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다. 현대차가 최근 공개한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5 N의 경우 18분 만에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아울러 교환식 배터리가 국내를 비롯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자리잡기 위해서는 '규격 표준화'가 이뤄져야 한다. 다른 제조사 전기차들이 전압이나 패키지, 모양, 크기 등이 같도록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각 완성차 기업별 기술력 침해 등의 우려도 배제할 순 없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인도네시아 등을 중심으로 교환식 배터리 시장이 확장되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마켓인사이트는 전 세계 E-모빌리티 교환식 배터리 시장이 중화권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25%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