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금리 상승세가 뚜렷해지면서 역대급 순이자마진을 올리는 시중은행들이 잇달아 초장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원리금 상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주담대 만기를 기존보다 더욱 늘린 것이 특징인데, 돈을 빌린 차주 입장에서는 대출 한도까지 늘릴 수 있는 혜택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작년까지 모두 30년~35년 만기 주담대 상품을 취급해 왔지만, 이날 현재 40년까지 만기를 늘린 곳은 하나·신한·농협은행 등이 꼽힌다. 하나은행은 은행권 통틀어 가장 먼저 지난달 21일 주담대 최장 만기를 35년에서 40년으로 늘렸다.
신한은행은 이달 6일부터 기존 최장 35년이었던 분할상환 주담대 만기를 40년으로 설정했고, 현재 '신한주택대출'과 '플러스모기지론' 등에 적용 중이다. 농협은행도 지난 9일부터 최장 40년 만기 주담대 상품을 내놨다. 농협은행이 앞서 제공한 일반 주담대 상품의 최장 만기는 33년 수준이었다.
국민은행도 지난달 29일부터 분할상환방식 신용대출 만기를 최장 5년에서 10년으로 조정했는데, 주담대에 관해서도 이달 중 40년 만기 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은행은 서민형 정책금융상품으로 분류하는 보금자리론, 적격대출 등에만 만기 40년 이상의 초장기 주담대를 취급해 왔으나 올해 초부터 본격화된 금리 상승기를 맞아 일반 고객들에게도 40년짜리 주담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지난달에 이어 이달 2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한은 금통위)가 치솟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방침에 무게가 실리면서 은행권은 여신 영역에 이같은 기조를 선적용하고 있다.
물 때에 맞춰 노를 젓듯이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가운데 차주 이자 부담이 커지자 은행들은 자체 금리를 조정하기보다 만기를 늘리는 카드를 들고나왔다. 하반기 예고된 한은 금통위에서 두 차례 기준금리를 차례로 25bp(1bp=0.01%포인트)씩 올린다면 연말 기준금리는 2.25%를 찍을 가능성이 높게 예상된다.
이처럼 당분간 금리가 꾸준히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 하에 은행권 역시 초장기 주담대와 신용대출 상품을 지속해서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차주에게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는 동시에 한 달에 부담해야 할 원리금을 줄이고, 대출 한도 증액 효과도 톡톡히 볼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지난해 7월부터 도입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봐야 하는데 주담대와 신용대출 면에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소득의 40%를 넘지 못하도록 막는 게 핵심"이라며 "이에 따라 해당 대출 만기가 길어질수록 대출을 더 받을 수 있는 여유가 생기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전체 대출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차주가 내야 할 이자액은 증가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은행권은 또 오는 7월 DSR 규제 수위가 지금보다 더 높아지는 것에 주목한다. 총대출액이 1억원만 넘어도 DSR 적용을 받기 때문이다. 한도를 늘리고 싶은 차주 입장에서 초장기 주담대가 반갑게 느껴지는 이유에 해당한다.
직전까지 길어야 5년에 불과했던 은행권 신용대출 만기도 2배 늘어 최장 10년짜리 상품들이 속속 등장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대표적으로 국민은행이 분할상환방식 신용대출 만기를 최장 10년으로 늘린 것이 꼽힌다. 리딩뱅크 국민은행의 만기 늘리기에 다른 시중은행들도 비슷한 상품 라인업을 구상하는데 분주하다는 전언이다.
일각에서는 주담대 보유 연령층이 30~40대에 몰려 있는 사정을 고려해 부실 대출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은 30~40대 인구 5명 중 1명꼴로 주담대를 보유한 상황을 가리켜 "코로나19 영향과 집값 상승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주담대 규모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진 의원은 "본격 인상기를 탄 대출 금리와 고물가·저성장 현상이 맞물려 부실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올해 3월 말 현재 30~40대 주담대 295만5000명으로 전체 비중은 46%로 집계됐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작년까지 모두 30년~35년 만기 주담대 상품을 취급해 왔지만, 이날 현재 40년까지 만기를 늘린 곳은 하나·신한·농협은행 등이 꼽힌다. 하나은행은 은행권 통틀어 가장 먼저 지난달 21일 주담대 최장 만기를 35년에서 40년으로 늘렸다.
신한은행은 이달 6일부터 기존 최장 35년이었던 분할상환 주담대 만기를 40년으로 설정했고, 현재 '신한주택대출'과 '플러스모기지론' 등에 적용 중이다. 농협은행도 지난 9일부터 최장 40년 만기 주담대 상품을 내놨다. 농협은행이 앞서 제공한 일반 주담대 상품의 최장 만기는 33년 수준이었다.
국민은행도 지난달 29일부터 분할상환방식 신용대출 만기를 최장 5년에서 10년으로 조정했는데, 주담대에 관해서도 이달 중 40년 만기 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은행은 서민형 정책금융상품으로 분류하는 보금자리론, 적격대출 등에만 만기 40년 이상의 초장기 주담대를 취급해 왔으나 올해 초부터 본격화된 금리 상승기를 맞아 일반 고객들에게도 40년짜리 주담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지난달에 이어 이달 2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한은 금통위)가 치솟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방침에 무게가 실리면서 은행권은 여신 영역에 이같은 기조를 선적용하고 있다.
물 때에 맞춰 노를 젓듯이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가운데 차주 이자 부담이 커지자 은행들은 자체 금리를 조정하기보다 만기를 늘리는 카드를 들고나왔다. 하반기 예고된 한은 금통위에서 두 차례 기준금리를 차례로 25bp(1bp=0.01%포인트)씩 올린다면 연말 기준금리는 2.25%를 찍을 가능성이 높게 예상된다.
이처럼 당분간 금리가 꾸준히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 하에 은행권 역시 초장기 주담대와 신용대출 상품을 지속해서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차주에게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는 동시에 한 달에 부담해야 할 원리금을 줄이고, 대출 한도 증액 효과도 톡톡히 볼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지난해 7월부터 도입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봐야 하는데 주담대와 신용대출 면에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소득의 40%를 넘지 못하도록 막는 게 핵심"이라며 "이에 따라 해당 대출 만기가 길어질수록 대출을 더 받을 수 있는 여유가 생기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전체 대출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차주가 내야 할 이자액은 증가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은행권은 또 오는 7월 DSR 규제 수위가 지금보다 더 높아지는 것에 주목한다. 총대출액이 1억원만 넘어도 DSR 적용을 받기 때문이다. 한도를 늘리고 싶은 차주 입장에서 초장기 주담대가 반갑게 느껴지는 이유에 해당한다.
직전까지 길어야 5년에 불과했던 은행권 신용대출 만기도 2배 늘어 최장 10년짜리 상품들이 속속 등장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대표적으로 국민은행이 분할상환방식 신용대출 만기를 최장 10년으로 늘린 것이 꼽힌다. 리딩뱅크 국민은행의 만기 늘리기에 다른 시중은행들도 비슷한 상품 라인업을 구상하는데 분주하다는 전언이다.
일각에서는 주담대 보유 연령층이 30~40대에 몰려 있는 사정을 고려해 부실 대출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은 30~40대 인구 5명 중 1명꼴로 주담대를 보유한 상황을 가리켜 "코로나19 영향과 집값 상승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주담대 규모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진 의원은 "본격 인상기를 탄 대출 금리와 고물가·저성장 현상이 맞물려 부실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올해 3월 말 현재 30~40대 주담대 295만5000명으로 전체 비중은 46%로 집계됐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