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빅딜' 추진…16일 산업장관회의 '주목'

백승룡 기자 2020-11-15 16:33:26
정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서 아시아나 매각 논의 한진그룹, 산은 지원받아 아시아나항공 인수하는 방안 유력 인수 시 글로벌 톱10 항공사 탄생…부실한 재무구조 '우려' 아시아나 '회생 불가능한 회사' 판단…막대한 혈세 투입 논란

[사진 = 대한항공 제공 ]

[데일리동방] 정부가 이르면 16일 열리는 산업경쟁력강화 장관회의에서 한진그룹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공식화할 것으로 전해져 관련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 1·2위 대형 항공사가 합쳐지는 '빅딜'이 추진되면 '글로벌 톱10'의 항공사 출범이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독과점 문제와 혈세 낭비 논란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해 앞으로의 행보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16일 열리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산경장)에서 아시아나항공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핵심 안건은 한진그룹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건이다. 애초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산업은행이 제안한 것으로 전해지는 만큼, 산경장 회의에서도 어렵지 않게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현재 한진그룹이 산업은행의 자금 지원을 받아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한진그룹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한진칼이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산은 자금을 확보한 뒤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지분 30.77%를 매입하는 방식이다. 산은이 사실상 재무적 투자자로 인수에 참여하는 구조로, 한진칼은 그만큼 인수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산은이 이처럼 발 벗고 나서 양대 항공사 간 결합을 유도하는 것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로 유동성 위기에 처한 두 대형 항공사에 대해 각각 지원을 이어가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인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한항공은 올해 4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총 1조2000억원을 지원받았다. 아시아나항공도 산은과 수은으로부터 앞서 지원받은 3조3000억원을 소진한 이후 기간산업안정기금 2400억원을 추가로 지원받았다.

특히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추진하던 HDC현대산업개발이 고심 끝에 지난 9월 손을 떼기로 하면서 산은 측에서는 대안 마련이 시급해진 상황이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방안은 정부 내에서도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진다.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도 지난 13일 "아주 상식적으로 얘기했을 때 좋은 방안이면 정부로서 마다할 이유가 없지 않으냐"며 한진의 아시아나 인수에 힘을 실었다.

두 기업이 합쳐지면 세계 10위권 항공사로 발돋움하게 될 전망이다. 지난해 국제 수송 인원수 기준으로 대한항공(19위)과 아시아나항공(36위)을 합치면 단번에 10위로 올라선다. 국제 화물 수송량 순위에서는 대한항공(5위)과 아시아나항공(23위)을 합칠 경우 카타르항공, 에미레이트항공에 이어 3위가 된다. 항공기 기준으로 봐도 대한항공(164대)과 아시아나항공(79대)이 보유한 항공기는 총 249대로 루프트한자(280여대), 에어프랑스(220여대) 등 세계 10위권 규모 항공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다만 대한항공조차 정부 지원을 받으며 버티는 상황에서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것 자체가 무리수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2291%에 달했고 자본잠식률은 56% 수준이었다. 대한항공이 현재 국제선을 30% 수준으로만 제한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그나마 화물운송을 확대해 적자를 면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한진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품는 것은 '도박'이라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독과점 논란도 넘어야 할 산이다. 국내 항공사 시장에서 대한항공(22.9%)과 아시아나항공(19.3%), 그리고 양사 저가항공사(20.3%)가 합쳐지면 점유율은 62.5%에 달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과거 현대자동차가 기아자동차를 인수할 때와 같이 아시아나항공을 '회생 불가능한 회사'로 판단해 결합을 승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일종의 예외규정을 적용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정부가 '회생 불가능한 회사'로 판단한 기업을 살리기 위해 산은이 막대한 세금을 투입해야 하므로 '혈세 낭비'라는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