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동방인] 보험박사 김세중 "연금보험 절세혜택 높이고, 상품 다양화 필요"

이혜지 기자 2019-07-08 12:00:00
“연금 목적은 해지 NO, 오래 가져가야 수익률 높이는 방향으로“ “13.2% 절세 개인연금은 엄청난 수익+IRP 가입하면 금상첨화”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이혜지 기자]

[데일리동방] 고령화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연금’은 보험사들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예상됐다. 보험사들은 연금보험상품을 대거 쏟아냈다. 하지만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으로 연금을 팔면 되레 보험사 부채가 늘게 됐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연금을 여러 개 파는 것보다 종신보험을 하나 파는 게 유리할 정도다. 금융소비자 입장에서도 연금보험에 매력을 느끼기 어렵다. 
절세 혜택은 줄었고,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인해 소비자들은 연금보험 대신 주식, 부동산 등으로 눈을 돌리는 상황이다.

8일 만난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연금보험을 살리기 위해선 세율과 의무 가입기간 등을 다양화해 소비자 니즈에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오로지 연금만 파고든 자타공인 '보험 박사'다. 

◆"개인연금 반드시 가입해야"

대학에서 수학·경제학을 전공한 김세중 연구위원은 금융사에 입사하는 대신 ‘보험 연구’를 택했다. 구체적으로는 연금을 연구했다. 그는 "경제, 경영, 법학 등의 융합학문이란 점이 보험의 매력"이라며 "특히 고령화로 인해 연금은 우리와 뗄 수 없는 부문이 돼 평생 연구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미국 계리사 시험에 합격한 게 보험에 입문하게 된 단초가 됐을까. 그는 2014년 보험개발원에 입사하고, 연구원으로 분리되면서 보험언구원에 재직하게 됐다. 그는 박사학위 논문 주제 ‘보험사인 장수위험’에 대해 연구하다 연금을 공부하게 됐고, 지금까지 연금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우선 김세중 연구위원은 개인연금에 반드시 가입할 것을 권했다. 그는 “취업을 하하면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에 자동 가입되는데, 그 외에 기본적으로 세제혜택이 추어지는 개인연금에 꼭 가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연금의 13.2% 세액 공제를 수익률로 따지면 어마어마 한 수준인데, 어떤 금융상품도 따라갈 수 없다"며 "개인형퇴직연금(IRP)까지 가입하면 금상첨화"라고 덧붙였다. 

소득대체율로 따진다면 수입의 40% 정도를 연금에 넣어야 한다는 게 김세중 연구위원의 조언이다. 그렇지만 우리 국민들은 노후에 대해 걱정만 할 뿐 적극적으로 대비하지 않는 편이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보험상품은 기본적으로 노후 대비를 위한 상품"이라며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보험을 빨리 해지하면서 지급받는 돈이 적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데, 사실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고 밝혔다. 

그는 "규제가 완화돼 빨리 해지해도 많이 지급 받도록 추세가 변하고 있는데, 그럴수록 가입자들의 노후 준비는 어려워질 수 있다"며 "보험상품을 해지하지 않고, 끝까지 가져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게 올바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생보사 연금상품 다양화 필요"

따라서 보험사도 보험상품을 다양화 해야 한다는 있다는 게 김세중 연구위원의 견해다. 현재 생명보험사들이 파는 연금은 너무 획일화돼 있어, 보험사들에게도 소비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다. 또 현재 같은 낮은 수익률로는 연금보험에 가입할 유인이 적다고 지적한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수익률이 높아야 연금보험에 가입하고, 결국 많은 돈을 고객에 지급해야 소비자도 연금에 눈을 돌릴 것"이라며 "현재 같은 저금리 상황에다 연금 세액이 점점 줄어드는 시기에는 소비자들이 연금에 가입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연금 특성상 빨리 해지하는 이들에겐 손해를 보게 하고, 오래 보유할 수록 더 많이 지급하도록 해야 소비자들이 고령화에 대비할 수 있다"며 "지급받는 연금 수익률도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만 노후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상품 역시 가입자의 니즈에 따라 오래 가져갈수록 지급이 많이 되는 연금, 오래 가져가도록 하되 일부만 일시금으로 해지해도 손해가 나지 않도록 하는 연금 등으로 다양화 할 필요 있다는 것이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현재 주식시장이 좋지 않으므로, 이자를 주면서 주식과 연계된 변액 기능이 있는 하이브리드연금보험이 좋은 상품의 예"라며 "해외 자산연계형 상품의 경우 이자율 2%를 일괄적으로 지급하면서, 투자도 해 주가지수가 5%면 0.5% 정도 지급해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품 다양화를 위해선 전문 보험사도 많아야 한다. 김세중 연구위원은 변액보험에 승부수를 띄운 미래에셋생명, 연금보험을 전문으로 한 IBK연금보험 등의 전략을 좋은 사례로 꼽았다. 

또 그는 "정부가 연금보험의 세제 혜택을 강화해야 하는데, 재정상 어렵다면 혜택 방식을 다양화해 소비자들이 연금상품에 눈을 돌려야 한다"며 “현재 연금보험 세제혜택이 일률적으로 주어지는데, 현 세액 공제 13.2%를 15%로 올린다면 가입자가 크게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단, 과세미달자로 혜택을 못받는 이들에겐 정부에서 지원금을 대주는 것도 방법"이라며 "13.2% 혜택 의무기간 10년, 20% 혜택 의무기간 20년,  또는 10% 혜택 의무기간 5년 등으로 연금보험 혜택과 의무가입을 다양화 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