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생활경제

3Q 희비 엇갈린 하이트진로·롯데칠성, 4분기 성수기 반등 열릴까

김아령 기자 2025-11-19 17:11:38
사진=연합뉴스DB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주류 양강인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가 올해 3분기 실적 희비가 갈렸다. 하이트진로는 맥주·소주 내수 부진과 비용 부담 여파로 수익성이 악화된 반면, 롯데칠성음료는 제로 슈거 소주를 중심으로 주류 부문 이익을 확대했다. 연말 모임과 외식이 늘어나는 4분기 성수기를 앞두고 두 회사의 실적 격차가 더 벌어질지, 계절 특수가 완충 역할을 할지가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하이트진로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6695억원, 영업이익은 54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3%, 22.5% 감소했다. 순이익은 339억원으로 20% 이상 줄었다.
 
맥주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7.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8.9% 줄었다. 소주 부문 매출은 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2.5% 감소했다.
 
또 비용 측면에서는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매출원가율이 56%까지 높아지며 수익성 악화폭이 확대됐다. 판관비 절감 노력에도 원가·물류 부담이 이어지며 실적 방어에 한계가 나타났다.
 
반면 롯데칠성음료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3분기 매출은 1조792억원으로 1.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918억원으로 16.6% 늘었다. 순이익은 39.3% 늘어난 620억원을 기록했다.
 
음료 부문은 제로 탄산과 에너지음료 판매가 성장을 이끌었다. ‘칠성사이다 제로’를 중심으로 고마진 제품 비중이 높아지며 수익성이 개선됐다. 해외 법인도 필리핀·중동 등 주요 지역에서 탄산·커피 제품 판매가 증가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류 부문에서는 제로 슈거 소주 ‘새로’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 브랜드 인지도 확대와 캐릭터 마케팅이 젊은 층 소비를 유입시키며 판매량을 끌어올렸다. 맥주 부문은 부진했지만 소주 수익성과 비용 효율화로 주류 전체 이익 기여도는 유지됐다.
 
3분기 실적이 엇갈린 만큼 통상 최대 성수기로 분류되는 4분기에 기대감이 쏠리고 있다. 회식·모임·연말 행사 수요가 집중되고 외식 채널 판매 비중이 급증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다만 고물가와 소비심리 약화, 유통채널 간 판촉 경쟁 심화 등 불확실성도 적지 않다. 전년 대비 성수기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하이트진로는 4분기 판매량 확대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테라·켈리 중심의 브랜드 노출을 강화하고, 편의점·대형마트·유흥 채널별 맞춤 프로모션으로 점유율 방어에 나선다. 해외 법인은 소주 수출 물량 증대를 통해 내수 부진을 상쇄한다는 전략이다.
 
롯데칠성음료는 수익성 중심 전략을 강화한다. 제로 탄산·에너지음료 등 고성장 품목 비중을 확실히 늘리고, 주류 부문에서는 새로 브랜드 캠페인과 체험형 마케팅을 강화해 젊은 층의 충성도를 끌어올린다. 해외 법인은 탄산·커피 제품 판매 증가로 4분기에도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4분기는 전통적으로 주류 판매가 가장 늘어나는 시기지만, 최근에는 고물가와 소비 위축으로 상승 폭이 예전만 못하다”며 “올해도 성수기 효과는 기대되지만 실적 체감도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