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산업

[단독] 조현준 효성 회장 '아픈손가락' 진흥기업...경영실패 드러나나

조재훈·김다경 기자 2025-11-06 15:48:40

7000억 이상 투입에도...시장가치 2000억 불과

공사미수금 2300억 중 44% '회수 불가능'

효성중공업 재무건전성에도 '부메랑'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조현준 효성 회장이 공들여 키운 진흥기업이 공사미수금과 손상차손이 늘어나며 실질적인 재무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성그룹과 채권단이 진흥기업에 쏟아부은 자금이 7000억원에 달하지만 현 시장 가치는 20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자칫 조 회장의 경영 실패작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룹 입장에서는 애가 끓는 상황에 처해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금융투자(IB)업계에 따르면 현재 진흥기업의 시장 가치는 약 2000억원으로 평가됐다. 금융투자업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조현준 회장이 진흥기업을 정리하지 못해 답답한 상황"이라며 "지금 팔아도 2000억원도 못 받을 수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크아웃에 이어 현재까지 효성그룹과 채권단이 쏟아부은 자금은 무려 약 7000억원에 달하지만 현재 시장 가치는 약 2000억원대에 불과해 투입 자금의 70% 이상이 공중분해 됐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조현준 회장이 직접 진두지휘한 인수였던 만큼 그룹 차원의 책임 경영 기조가 유지됐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됐다는 지적이다. 그룹과 채권단이 투입한 자금만 수 천 억 원대에 달하며 감자와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정상화 신호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에 진흥기업의 부실이 효성중공업 등 그룹 전체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평가다.
 
흑자전환 뒤 그늘...손상차손 1000억, 재무 건전성 ‘빨간불’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진흥기업의 영업이익은 22억 6500만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매출액은 15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했다. 다만 수치 개선과 달리 공사미수금과 손상차손이 크게 늘며 재무 건전성은 오히려 악화됐다.

이는 미수금을 매출로 인식한 것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살펴보면 최근 6분기 연속 마이너스로 벌어들인 현금보다 나간 현금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비를 받지 못해 쌓인 공사 미수금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을 회수할 수 없다고 판단해 손실로 처리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진흥기업의 공사미수금은 2303억원으로 전년 동기 1523억원 대비 약 51% 증가했다. 이에 올 상반기 기준 공사미수금 장부가액은 1285억원, 손상차손누계액은 1018억원으로 집계됐다. 공사미수금 손상차손 규모는 전년 말 874억 원에서 1018억원으로 늘어나며 16.5% 증가했다.

손상차손이 전체 공사미수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2%에 달한다. 이는 공사로 벌어야 할 돈의 절반 가까이를 회수 불가능한 채권으로 스스로 인정한 것이다. 분양미수금은 6700만원 수준으로 미미하지만 단기미수금도 241억원 중 4억원가량이 손상 처리됐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6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매출은 나지만 실제 현금은 들어오지 않는 구조라는 점을 방증한다. 현금 흐름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만큼 향후 재무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공사미수금은 자금시장 불안과 발주처의 지급능력 저하 등의 배경이 있을 수 있지만 건설사의 무리한 수주 확대와 회계 불투명성 등 경영 관리 상의 원인도 제기된다.
 
‘승자의 저주’와 오너의 책임 경영

1959년 설립된 진흥기업은 2008년 초 효성그룹에 편입된 건설회사다. 당시 건설 부문 중책을 맡고 있던 조현준 회장이 적극적으로 주도해 경영권 인수가 추진됐으며 인수금액은 약 931억원에 달한다. 자회사로 편입된 이후 현재는 효성중공업이 48.19%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건설 사업을 영위하고 있던 효성그룹은 중견 건설사인 진흥기업을 인수해 건설 사업을 강화하고 주택사업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사세를 확장해왔다. 효성이 보유한 중공업(건설 자재)와 금융 사업과도 시너지를 창출하려던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그룹 승계를 앞둔 장남 조현준 당시 사장의 경영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였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효성이 진흥기업을 인수한 직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부동산 경기가 급격히 침체됐고 진흥기업은 인수 직후인 2009년부터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결국 3년 만인 2011년 워크아웃에 돌입하게 됐다. 이후에도 15년 넘게 부실을 털어내지 못한 채 그룹 자금을 쏟아붓는 결과를 낳았다.

일각에서는 조 회장의 진흥기업에 대한 집착이 승자의 저주가 됐다는 의견도 나온다. 수 천 억 원의 지원금이 소진되는 동안 그룹의 책임 경영 원칙이 흔들렸고 건설사업의 신뢰도마저 위태로워졌다는 평이다. 막대한 지원금 대비 회수 불투명한 자금이 쌓이는 가운데 오너의 실책으로 남는 것을 꺼려 지배력은 유지한 것이 아니냐는 설명이다.
 
"모기업은 효자인데"...효성중공업에 돌아오는 '부메랑'

진흥기업의 부실은 모기업인 효성중공업의 전체 재무 리스크로도 전이되고 있는 점은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조현준 회장은 진흥기업 정상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자금을 투입해 왔다.
 
효성중공업 별도 재무제표에 따르면 진흥기업과의 기타채권 잔액은 효성그룹과 채권단이 수천억 원을 투입하고 대규모 감자를 단행한 후에도 21억5300만원이 남아 있다. 여기에 1조7000억원 규모의 PF 우발 채무와 같은 리스크도 떠안고 있다.
 
진흥기업 부실이 반영된 효성중공업의 올해 상반기 연결 부채비율은 208.55%를 넘어섰다. 전기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다. 이는 그룹 전체의 차입 부담을 키우며 신용등급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효성중공업이 ‘대리 부담’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