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농협금융지주 공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NH농협손보·생명의 순익이 모두 감소했다. NH농협손보의 3분기 연결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은 1218억7300만원으로 전년 동기(1387억1700만원) 대비 12.1% 감소했다.
특히 3분기 보험손익은 325억6200만원으로 전년 동기(1320억100만원) 대비 75.33% 급감했다. 이는 상반기 산불 피해·집중호우로 인해 예상 손해율보다 실제 손해율이 높게 나타난 영향이다. 같은 기간 투자손익은 1438억3500만원으로 전년 동기(739억1400만원)보다 2배 가까이 늘었으나 보험손익 감소 폭이 더 컸다.
NH농협생명도 실적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올해 3분기 NH농협생명의 연결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은 2108억6200만원으로 전년 동기(2478억4300만원)보다 14.9% 감소했다.
같은 기간 투자손익은 652억4400만원으로 전년 동기(288억9600만원) 대비 125.7% 급증했으나 보험손익이 3061억7000만원으로 전년 동기(4166억6700만원)보다 1000억원 이상 감소하면서 실적이 악화했다. 보험손익 악화는 지급보험금·미보고발생손해액(IBNR)이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양사의 순익은 감소했으나 미래 수익성 지표인 보험계약서비스마진(CSM)은 성장세를 보였다. NH농협생명의 3분기 말 기준 CSM은 전분기(4조5631억원)보다 1.6% 늘었다. NH농협손보의 3분기 말 CSM도 1조6255억원으로 전분기(1조5132억원) 대비 7.4% 증가했다.
자본 적정성을 나타내는 지급여력(K-ICS) 비율은 NH농협생명이 업계 권고치를 크게 상회했으나 NH농협손보는 지난해 동기보다 100%p 이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NH농협생명의 올해 3분기 K-ICS 비율 잠정치는 419.03%로 전년 동기(399.18%) 대비 19.85%p 늘었다.
반면 NH농협손보의 자본 적정성 지표는 지난 3월 2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했음에도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NH농협손보의 K-ICS 비율은 163.49%로 지난해 말 금융당국의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 도입으로 보험부채가 늘어나면서 전년 동기(290.1%) 대비 126.61%p 급감했다.
NH농협손보는 금융당국 K-ICS 비율 권고치인 130%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는 경과조치 적용 후 비율이다. 경과조치 미적용 시 권고치에 근접해 추가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NH농협손보는 올해 상반기 경과조치 전 K-ICS 비율 130.2%를 기록한 바 있다.
NH농협손보 관계자는 "자본 적정성 개선을 위해 채권선도 매입 등의 방식으로 장기채를 확보해 자산 듀레이션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APEC]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EDB와 MOU 체결…수소 생태계 조성](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3/20251103110714145300_388_136.jpg)



![[속보] 60만닉스 달성…SK 하이닉스, 사상 첫 60만원 돌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3/20251103103238752937_388_13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