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13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의 고삐를 바짝 죈다.
연초부터 끊이지 않았던 대형 해킹과 정보보안 사고를 핵심 의제로 삼아 이동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들을 증인으로 소환했다. 단순 정책 점검을 넘어 ICT 거버넌스 전반을 재정비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국회와 ICT 업계에 따르면 올해 과방위 국정감사의 최대 격전지는 오는 21일으로 예고됐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김영섭 KT 사장,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이 이날 나란히 증인으로 채택됐다. 과방위는 이들을 상대로 잇따른 보안 사고의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 내부 통제 시스템의 적정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지난 4월 국민 절반에 가까운 2300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대형 해킹 사고를 겪었다. 회사 신뢰도에 치명타를 입은 이번 사건에 대해 관리 부실 책임과 피해 축소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KT 또한 지난 8월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로 초소형 기지국 보안 관리의 허점을 드러냈다. 이후 외부 전문업체 조사에서 일부 서버 침해 정황까지 확인되면서 파장은 더욱 커졌다.
LG유플러스 역시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 매거진(Phrack Magazine)’이 내부 서버 관리 시스템의 소스코드 유출 의혹을 제기하며 해킹 논란의 중심에 섰다. LG유플러스 측은 “해킹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고 정보 유출도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국감장에서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해킹 문제 외에도 KT는 사장 선임 과정을 둘러싼 의혹으로 국감의 또 다른 핵으로 떠올랐다. 과방위는 김영섭 사장 교체 과정에 외부 압력이나 정치적 개입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현모 전 대표와 당시 최종 후보였던 윤경림 전 부문장까지 증인으로 불렀다. 김 사장은 14일과 21일 두 차례 출석 요청을 받은 상태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