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ISO에서만 중국이 142개 표준을 주도해 전체 1533개 ISO 표준의 9%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SCMP는 저가 제품 생산 중심지에서 유럽과 미국에 도전해 기술 선진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대표적 가전 기업인 하이얼(Haier), TCL, 하이센스(Hisense), 샤오미(Xiaomi) 등은 최근 중국 정부 주도로 ISO 등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시장 규범을 선점하는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는 가격을 무기로 한 공세가 두드러진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제품 가격을 대폭 낮추며 접근성을 높이고 샤오미는 체험형 매장을 직접 운영해 A/S 불안을 해소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실제로 식기세척기, 음식물처리기 등 틈새 품목에서 중국산 제품은 국내산보다 절반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며 점유율을 확대 중이다.
업계는 이러한 흐름을 단순한 가격 경쟁으로만 보지 않는다. 한 가전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은 지금은 볼륨존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지만 CES나 IFA 전시회를 보면 프리미엄 제품군도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며 “언제든 가격을 높여 프리미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체력을 갖췄다”고 말했다.
중국과 한국 기업 간 출발점의 차이도 지적된다. 그는 “중국은 내수 시장이 워낙 커 자국 수요만으로도 충분한 수익을 올린 뒤 해외 공략에 나선다. 반면 한국은 내수 규모가 작아 해외 시장을 먼저 두드려야 하는 구조”라며 “자금 여력과 전략적 여유에서 양국 기업은 큰 차이가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 시장은 규모는 작지만 프리미엄 소비 비중이 높은 점에서 중국 기업에 의미가 크다. 또다른 전자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 성과를 내면 글로벌 시장에서도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업체들이 체험형 매장이나 A/S 센터를 확대하는 것”이라며 “삼성·LG는 기술력과 프리미엄 전략을 고수하며 브랜드 가치&사용 경험으로 맞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