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기업경기조사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0.6p 상승한 91.6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에 이어 두 달째 상승세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기업 체감경기 심리 지표다. 장기(2003∼2024년) 평균인 100보다 크면 경제 상황에 대한 기업 심리가 낙관적, 반대로 100을 밑돌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 CBSI(93.4)는 생산(+0.4p), 신규수주(+0.2p) 등이 견인해 전월 대비 0.1p 상승했다. 비제조업 CBSI(90.5) 역시 채산성(+1.4p)이 증가하면서 1.1p 올랐다.
그러나 다음 달 CBSI 전망은 전산업(88.5), 제조업(89.4), 비제조업(87.9)이 이달 전망치보다 각각 3.3p, 2.7p, 3.6p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미국 관세 협상 관련 불확실성이 있고, 긴 추석 연휴로 인해 영업 일수가 감소하는 우려 등이 작용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세부 업종의 기업경기실사지수 흐름을 보면 제조업 중에서 전자·영상·통신장비가 반도체 수출 호조세 지속과 무선통신기기 신제품 출시 효과 등으로 개선됐으나, 화학물질·제품, 고무·플라스틱 등은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와 자동차 부품 업체 중심 업황 악화 영향으로 부진했다.
비제조업은 도소매업,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개선됐다. 이 중 도소매업은 추석 명절 수요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한 9월 경제심리지수(ESI)는 91.3으로 전월보다 3.3p 하락했다. 같은 기간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92.3)는 0.6p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18일 전국 3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 업체는 총 3298개 기업(제조업 1843개·비제조업 1455개)이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