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정부, 기업 보안사고 CEO에 정보보호 책임 직접 묻는다…'경영 문제'로 규정

선재관 기자 2025-09-23 13:27:51

CISO 긴급 점검 "앞으로 CEO가 직접 보고하라"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잇따른 기업 해킹 사태에 정부가 칼을 빼 들었다. 앞으로 정보보호 문제는 실무 책임자를 넘어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책임져야 한다는 원칙을 분명히 하고 각 기업에 CEO 주도의 전사적 보안 점검을 긴급 지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서울 송파구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에서 KT클라우드, LG유플러스, 빗썸코리아, 토스 등 30여 개 주요 기업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들을 소집해 긴급 보안점검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정부가 여러 대책을 마련하더라도 기업 현장에서 보안 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며 CEO와 이사회가 보안 업무에 직접 관여하고 CISO에게 충분한 권한을 부여하고 있는지 집중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보안 사고의 책임을 더 이상 실무진의 기술적 문제로 한정하지 않고 기업의 존망을 좌우하는 핵심 ‘경영 문제’로 격상시키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이동근 KISA 디지털위협대응본부장은 “기업의 핵심 정보자산을 CEO가 직접 인지하고 CISO를 통해 취약점 조치 내용이 보고되어야 위기 상황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정보보호 인력 및 예산 확보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한 참석자는 “정보보호 공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으로 의무화하면 보안 예산을 확보하는 내부 설득력이 커질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밖에도 보안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협력사(수탁기업)에 대한 책임 분담 규제 도입 등 구체적인 정책 건의가 이어졌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각 기업의 보안 투자 및 관리 체계를 점검하고 필요시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류 차관은 “정보보호는 기업의 존망과 직결된 문제라는 위기의식을 갖고 보안 역량을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만들기 위해 3만여 CISO들이 책임감을 갖고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