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일각에서 기대했던 '빅컷'(0.50%p 대폭 인하)이 아닌 0.25%p 소폭 인하에 그치면서 실망감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0.42p(0.57%) 오른 4만6018.32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41p(0.10%) 하락한 6600.35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72.63p(0.33%) 떨어진 2만2261.33으로 각각 마감했다.
증시 업종별로는 전통적인 가치주들이 강세를 보인 반면 기술주는 부진했다. 다우지수에 포함된 은행주와 제조업체들이 금리 인하 혜택을 기대하며 상승했지만 높은 밸류에이션(기업가치 평가) 부담을 안고 있던 기술주들은 매물 출회로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은 연준의 신중한 접근이 시장 기대치와 엇갈렸다고 분석했다. 일부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금리 인하 압박과 최근 경기둔화 우려를 감안해 더 큰 폭의 인하를 예상했기 때문이다.
연준은 16~17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4.0~4.25%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4.25~4.5%로 인하한 뒤 5회 연속 동결하다가 9개월 만에 내린 것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인하다.
이번 연준 금리 인하는 국내 증시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금리차 축소로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이 완화되고,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내 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금리 인하로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지면 신흥국 증시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며 "국내 증시도 상승 모멘텀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