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

네이버, 자체 브라우저 '웨일' 첫 해외 진출지로 베트남 낙점

선재관 기자 2025-09-01 23:55:43

'크롬 천하' 흔드나…베트남서 '글로벌 시험대' 오른다

네이버 웨일…'크롬 철옹성' 뚫을 첫 타깃은 베트남

네이버 웨일 [사진=네이버]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웹 브라우저 ‘웨일(Whale)’의 첫 글로벌 진출지로 베트남을 낙점하고 현지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구글 크롬이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는 베트남 시장을 교두보 삼아 동남아 전역으로 영토를 확장하겠다는 전략이다.

1일 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베트남 법인은 최근 웨일 개발자 채용에 나서는 등 현지 맞춤형 서비스 출시를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AI 기반 웹 브라우저를 해외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면서도 구체적인 시점과 국가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네이버가 웨일의 첫 해외 무대로 베트남을 선택한 이유는 ‘해볼 만한 시장’이라는 전략적 판단 때문이다. 웹 트래픽 분석 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크롬의 베트남 웹 브라우저 점유율은 61.8%로, 인도네시아(86.4%)나 태국(70.1%)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베트남에는 이용자 3,000만 명을 확보한 토종 브라우저 ‘콕콕’이 존재해 신규 플레이어의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네이버가 베트남에서 쌓아온 인지도와 사업 경험도 중요한 기반이다. 네이버는 동남아 지역 중 유일하게 베트남에 법인을 두고 있으며 현지 IT 채용 포털로부터 ‘최고 IT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했다. 또한 2022년에는 현지 에듀테크 기업 ‘페니카 그룹’과 협력해 웨일 기반의 스마트 교육 환경을 구축한 성공 사례도 있다.

네이버는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웨일에 ‘클로바X’와 ‘챗GPT’ 등 생성형 AI 검색 기능을 탑재하고 페이지 번역 기능을 강화하는 등 AI 기반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했다.

장기적으로 네이버는 웨일을 단순한 브라우저를 넘어 로봇 OS ‘아크마인드’, 차량용 브라우저 등으로 확장해 차세대 현금 창출원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베트남에서의 성공 여부가 웨일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가늠할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