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산업

트럼프發 관세 부메랑…美 자동차 생산 줄고 가격 올라

김인규 기자 2025-05-18 14:46:21

2분기 북미 車 생산 12만 대 감소 전망…25% 관세 역효과 우려

신차 평균 가격 2.5% 상승…차량당 제조비 476만 원 더 들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차 관세 정책이 오히려 미국 내 제조업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관세 정책이 오히려 미국 제조업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수입산 자동차에 부과된 25% 관세와 차 부품 관세가 오히려 미국 내 차량 생산을 줄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 시장조사업체 오토포캐스크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분기 북미 자동차 생산은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2만6000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북미에서 생산된 자동차 수는 총 1610만대로 실질적인 감소량은 1%도 되지 않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기대와는 반대의 효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실제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은 관세 영향으로 인해 점차 상승할 전망이다. 자동차시장 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와 신용평가사 무디스 애널리틱스가 발표하는 자동차 구입 능력 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 내 평균 신차 가격은 2.5% 올랐다. 

미국 구겐하임 증권도 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올해 차량당 평균 제조 비용을 3천400달러(476만원) 증가시킬 것으로 봤다. 

다만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오히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 모빌리티에 따르면 지난 3월 미국 내 전기차 등록 대수는 11만5758대로 지난해 동월 대비 20%늘었으며 전체 판매량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0.4% 올라 7.5%가 됐다. 

차량 가격의 전반적인 증가세에 따라 기존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던 전기차 제품군이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관세는 결국 미국 자동차 산업에 부담을 줄 수밖에 없어 현지에서도 이러한 여파를 경고하고 있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