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경신한 은행들이 오히려 영업점을 줄이고 있다. 신한은행은 올 초 28개 지점이 문을 닫았고 KB국민은행도 다음 달 영업점 28곳을 폐쇄할 예정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 달 KB국민은행의 28개 영업점이 문을 닫는다. 오는 3월 7일까지 27개점, 31일까지 1개점(경기도청)을 폐쇄하고 인근 영업점과 통합한다.
폐쇄를 앞둔 지점은 △서울 11곳(건대역·까치산역·답십리·동대문패션타운·목동중앙·북악·서울역·신길서·신당역·제기동·조원동점) △경기 10곳(광명·매탄동·본오동·상일동·신갈·의정부·판교벤처밸리·평촌스마트·행신동·경기도청점) △인천 2곳(부흥오거리·임학동점) △대전 1곳(둔산크로바점) △울산 1곳(삼산점) △부산 2곳(안락동·좌동점) △경북 1곳(포항해병대점)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대면 고객 상담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더 쾌적한 환경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이어 "이용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반경 1㎞ 이내 거리의 영업점들과 통합한 것"이라며 "고객이 편리하게 대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점심시간 집중 운영' 특화 점포를 최근 전국 41개로 늘렸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는 점포도 현재 82개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총영업점 수는 지난 2023년 3927개에서 이달 9일 기준 3790개로 약 1년간 137곳이 문을 닫았다.
은행별 지난 2023년 대비 오는 3월 말 기준 예상 영업점 증감 규모는 △국민은행 -25개 △신한은행 -57개 △하나은행 +5개 △우리은행 -52개 △NH농협은행 -36개다. 다음 달 폐쇄 예정인 국민은행 영업점 수를 반영하면 이 기간 총 165개 지점이 없어지는 것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부분의 입출금과 대출의 상당 부분이 모바일앱·웹 등 온라인 비대면 채널로 이뤄지고 있어 효율성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영업점 수를 줄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불필요한 영업점 폐쇄·통합으로 접근성이 약화해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순이익은 16조4205억으로 집계됐다. KB·하나금융은 역대 최대 기록이며, 신한금융도 지난 2022년 일회성 이익(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을 제외할 경우 역대 최고치다.
같은 기간 이자 이익 역시 총 41조8760억원으로 전년(40조6212억원)보다 3.1% 상승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작년 11월 열린 '금융 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권 공감의 장' 행사에서 "금융권이 디지털 전환과 비용 절감에 집중하며 물리적 점포 등은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 과정에서 고령자·장애인·비도심 거주자 등 취약한 금융소비자의 금융거래 환경이 나빠지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 달 KB국민은행의 28개 영업점이 문을 닫는다. 오는 3월 7일까지 27개점, 31일까지 1개점(경기도청)을 폐쇄하고 인근 영업점과 통합한다.
폐쇄를 앞둔 지점은 △서울 11곳(건대역·까치산역·답십리·동대문패션타운·목동중앙·북악·서울역·신길서·신당역·제기동·조원동점) △경기 10곳(광명·매탄동·본오동·상일동·신갈·의정부·판교벤처밸리·평촌스마트·행신동·경기도청점) △인천 2곳(부흥오거리·임학동점) △대전 1곳(둔산크로바점) △울산 1곳(삼산점) △부산 2곳(안락동·좌동점) △경북 1곳(포항해병대점)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대면 고객 상담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더 쾌적한 환경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이어 "이용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반경 1㎞ 이내 거리의 영업점들과 통합한 것"이라며 "고객이 편리하게 대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점심시간 집중 운영' 특화 점포를 최근 전국 41개로 늘렸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는 점포도 현재 82개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한은행도 지난달 28개 영업점을 폐쇄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올해 없어진 28개 지점 가운데 27개는 점포 대형화 방침에 따라 한 건물에 분리돼 있던 기업영업점과 리테일(소매)영업점을 통합한 경우"라고 해명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총영업점 수는 지난 2023년 3927개에서 이달 9일 기준 3790개로 약 1년간 137곳이 문을 닫았다.
은행별 지난 2023년 대비 오는 3월 말 기준 예상 영업점 증감 규모는 △국민은행 -25개 △신한은행 -57개 △하나은행 +5개 △우리은행 -52개 △NH농협은행 -36개다. 다음 달 폐쇄 예정인 국민은행 영업점 수를 반영하면 이 기간 총 165개 지점이 없어지는 것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부분의 입출금과 대출의 상당 부분이 모바일앱·웹 등 온라인 비대면 채널로 이뤄지고 있어 효율성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영업점 수를 줄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불필요한 영업점 폐쇄·통합으로 접근성이 약화해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순이익은 16조4205억으로 집계됐다. KB·하나금융은 역대 최대 기록이며, 신한금융도 지난 2022년 일회성 이익(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을 제외할 경우 역대 최고치다.
같은 기간 이자 이익 역시 총 41조8760억원으로 전년(40조6212억원)보다 3.1% 상승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작년 11월 열린 '금융 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권 공감의 장' 행사에서 "금융권이 디지털 전환과 비용 절감에 집중하며 물리적 점포 등은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 과정에서 고령자·장애인·비도심 거주자 등 취약한 금융소비자의 금융거래 환경이 나빠지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