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생활경제

여름 대세는 '나'…맥주 주도권 쟁탈전 '활활'

김아령 기자 2024-03-28 06:00:00
맥주브랜드 점유율 상위 4곳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주류업계가 여름 시즌을 앞두고 이른 맥주 주도권 싸움에 나섰다. 지난해 실적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올해 여름 성수기 실적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작년 국내 맥주 시장은 수입 맥주와 위스키 시장 확대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소비자들이 즐기는 주종이 소주, 맥주 중심에서 와인, 위스키 등으로 다양화 되면서다. 맥주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상황 속 신제품을 선보이고 마케팅을 강화하는 가운데 올 여름 점유율을 쟁탈할 승자가 누가될지 주목된다.
 
◆ ‘한맥·켈리·크러시’…올해 신스틸러 승자는
 
주류업계가 변화한 소비자 니즈에 발맞춰 투트랙 전략으로 맥주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하나의 제품을 잘 만들어 홍보하고 판매하는 데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기존 대표 브랜드 이외에 함께 맥주 시장을 이끌 브랜드를 앞세우고 있다.
 
오비맥주는 ‘한맥’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으며 하이트진로는 ‘테라·켈리’ 쌍끌이 전략을, 롯데칠성은 ‘크러시’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오비맥주는 지난 2020년 출시한 신제품 한맥의 생맥주를 출시하며 승부수를 띄웠다. 가정용 맥주 시장에서 상위 10위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한 한맥 살리기에 나선 것이다.

 
생맥주 ‘한맥 엑스트라 크리미 생(生)’은 특수하게 제작된 스페셜 마이크로 크림 탭을 적용해 한층 더 생크림 같이 부드러워진 거품을 구현했다. 산소 접촉을 최소화해 거품 지속력을 높이고 부드러운 목넘김이 특징이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부드러운 맥주, 거품을 추구하고 있는 한맥이 어떻게 하면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지 고민하면서 새롭게 업그레이드 했다”며 “한맥의 브랜드 인지도와 판매량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비맥주의 카스는 맥주 가정시장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오비맥주의 카스는 지난해 가정용 시장 내에서 38.61%의 점유율로 1위를 유지했다. 전년(38.37%) 대비 0.24%p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하이트진로의 테라는 2위 자리는 유지했지만, 점유율이 13.45%에서 11.95%로 1.5%p 줄었다.
 
하이트진로는 점유율 1위 탈환을 목표로 테라·켈리 쌍끌이 전략을 펼치고 있다. 하이트진로가 지난해 4월 출시한 켈리는 첫해 매출 5위를 기록했다. 테라는 켈리 출시에 따른 캐니벌리제이션(자기잠식 효과)이 현실화하며 판매액이 줄었으나, 켈리와의 합산 판매액은 전년 대비 성장하며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의 점유율 격차는 소폭 좁혀졌다.

 
하이트진로는 올 상반기 성장 확대 가능성이 높은 대학가를 집중 공략, 맥주를 마시는 20대 소비자 겨냥에 나선다. 대학가 중심 상권에서 신규 굿즈 활용과 함께 MT, 대동제에서 맥주를 음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켈리의 신규 브랜드 슬로건 ‘더블 임팩트 라거-켈리’를 도입한 광고를 최근 공개하기도 했다.
 
지난해 4월엔 홍보를 위해 서울 강남과 대구·부산에서 팝업스토어 ‘켈리 라운지’를 운영했고 7월에는 여의도 더현대 서울에서 ‘켈리×JTBC 최강야구’ 팝업스토어를 열기도 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11월 새롭게 선보인 맥주 크러시의 마케팅에 힘주고 있다. 지난 2월 크러시 출시 100일을 기념해 서울 잠실에 위치한 롯데백화점 에비뉴엘 지하 1층에서 팝업 매장을 운영했다. 브랜드 모델 카리나를 내세우며 다양한 체험존을 마련한 행사에는 운영 기간 동안 약 8000여명의 소비자가 방문했다.

 
크러시는 출시 초기 메인 타겟인 젊은 층이 많이 이용하는 술집이나 식당 등 유흥 채널 입점에 집중했다. 이후 고객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제품 라인업을 늘려 현재는 대형마트, 편의점 등 가정채널로 영업망을 확대하고 있다.
 
크러시를 선보인 후 롯데칠성음료 맥주 매출은 46% 늘어났다. 지난 1월 말부터 입점을 시작한 편의점의 경우 500㎖ 캔 제품 기준 85% 이상 분포율을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크러시는 일상 외 스포츠 현장에서 다양한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최근 프로축구팀 FC서울의 2024시즌 공식 스폰서십을 체결하고 서울월드컵경기장 내 마련된 스카이펍, 스카이박스, 상설 팬카페 등에서 크러시 맥주를 선보였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FC서울의 경기장을 찾는 주요 연령층인 2030세대가 크러시의 핵심 타겟과 일치한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MZ세대의 참여가 높은 스포츠를 연계한 마케팅으로 기존 주류 음용 환경과 차별화된 브랜드 친화력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 위스키에 치이고 하이볼에 밀리고…김 빠지는 ‘수제맥주’
 
한때 돌풍을 일으켰던 수제맥주의 인기가 사라지면서 업계 전반에 검은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수제맥주 업계 최초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제주맥주는 수익성 악화로 최근 경영권을 매각했으며, 업계 2위 세븐브로이맥주는 지난해 적자전환했다.
 
수제맥주는 코로나19 시기 홈술 문화와 맞물리며 전성기를 맞았다. 편의점을 중심으로 ‘이색 콜라보’ 신제품을 앞다퉈 출시하며 단번에 인기몰이에 성공했다.
 
한국수제맥주협회에 따르면 국내 맥주시장의 수제맥주 점유율은 2018년 1.40%, 2020년 3.55%로 꾸준히 늘었고, 2022년에는 4.92%까지 증가하며 5년 새 7배가량 늘었다.

수제맥주 시장 규모도 크게 성장했다. 지난 2013년 93억원에서 2017년 433억원, 2019년 800억원, 2020년 1180억원, 2021년에는 1520억원으로 늘었다. 수제맥주 인기에 힘입어 수제맥주를 생산하는 양조장 수도 가파르게 증가했다. 2014년 54개 수준이던 소규모 양조장은 2018년 124개로 100개를 돌파했으며, 2022년말 기준 177개까지 늘었다.
 
하지만 엔데믹과 함께 주류 트렌드가 위스키·하이볼 등으로 옮겨가면서 수제맥주 업계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업계 1위였던 제주맥주의 경우 경영권까지 매각하며 업계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주맥주의 최대 주주인 엠비에이치홀딩스와 문혁기 제주맥주 대표이사는 보유 주식 864만주와 경영권을 101억5600만원에 더블에이치엠에 매각하기로 했다. 제주맥주의 경영권은 오는 5월 8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에서 잔금 지급과 동시에 더블에이치엠에 이전될 예정이다.
 
제주맥주는 지난해 매출 224억원, 영업손실 109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손실은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100억원을 넘었다. 매출도 전년보다 6.2% 감소했다.
 
수제맥주의 몰락은 이미 예견된 수순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수많은 협업과 신제품 출시 등으로 수제맥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피로감이 높아진 게 수제맥주 인기 하락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업계 2위인 세븐브로이맥주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2021년 119억원, 2022년 7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세븐브로이맥주는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손실이 39억원으로 연간 실적이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은 1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 급감했다.
 
업계에선 수제맥주 시장의 부흥을 위해서는 수제맥주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패키지만 강조한 협업 제품 출시를 지양하고 기존 맥주와 차별화하는 등 제품력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