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신한은행이 야심차게 준비한 ‘음식주문 중개 서비스’ 론칭이 예정보다 지연되면서 금융당국이 실태 파악에 착수했다. 시중은행의 고유 업무가 아닌 플랫폼 사업 영역에 무리하게 신한은행의 진출을 허용했던 금융당국의 책임론까지 부각되고 있다.
10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올해 7월로 예정됐던 신한은행의 ‘음식 주문중개를 통한 소상공인 상생 플랫폼’ 출시 시기가 오는 12월로 늦춰진 사실이 확인됐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서비스 개발 지연 사유와 현 개발 상황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는 지난해 12월 신한은행의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했다. 신한은행이 금융위에 처음 보고한 서비스 출시 시기는 올해 7월이다. 플랫폼 개발 과정에서 잇단 변수가 발생했고, 올해 2월 신한은행은 서비스 론칭 시기를 12월로 연기한다고 금융위 측에 수정 보고 했다.
이를 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신한은행이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기 위해 ‘던져놓고 보자’식으로 무리수를 둔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사실상 서비스 론칭 연기는 예정된 수순이라는 시각이다.
현재까지 신한은행은 플랫폼 개발비용으로만 150억원 가량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단계에서 은행 측이 확실한 개발자를 확보하지 못했고, 심지어 명확한 사업 범위조차 정하지 못한 사실까지 드러나 주먹구구식 사업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신한은행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에 이목이 쏠리는 이유는 금융위가 2년여 전 혁신금융서비스 제도인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한 이후, 은행업 외의 부수업무로서 플랫폼 사업 진출을 허용한 첫 번째 사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현행 은행법상 은행 고유업무와 연관성이 부족한 사업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부수업무로 인정하지 않는다. 금융위는 신한은행을 상대로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적용, 소상공인에게는 저렴한 플랫폼 수수료와 정산기간 단축, 은행의 경우 매출데이터 토대의 새로운 금융상품 출시 등의 효과를 기대했다.
은행 측은 대표 모바일플랫폼 ‘쏠(SOL)’과 별개 어플리케이션(앱)에 음식 주문중개 서비스를 탑재할 계획은 변동이 없다고 강조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개발 준비 과정에서 범위가 많이 넓어졌고, 현재 7개 영역으로 나눠 개발 중에 있다”며 “처음부터 개발 기간을 늘려 잡지는 않았고, 서비스 개발이 완료되면 쏠과 별도 앱에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은행 측은 초기 사업 착수시기에 발생한 지연 사유에 대해서는 “밝히기 곤란한 부분”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개발 범위와 시스템 구축 등 당초 예상보가 출시 시기가 길어질 것 같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은행 측이 애초 개발 범위를 제대로 예상하지 못한 점과 현재 앱 개발 단계 등을 알아보겠다”고 말했다.
10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올해 7월로 예정됐던 신한은행의 ‘음식 주문중개를 통한 소상공인 상생 플랫폼’ 출시 시기가 오는 12월로 늦춰진 사실이 확인됐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서비스 개발 지연 사유와 현 개발 상황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는 지난해 12월 신한은행의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했다. 신한은행이 금융위에 처음 보고한 서비스 출시 시기는 올해 7월이다. 플랫폼 개발 과정에서 잇단 변수가 발생했고, 올해 2월 신한은행은 서비스 론칭 시기를 12월로 연기한다고 금융위 측에 수정 보고 했다.
이를 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신한은행이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기 위해 ‘던져놓고 보자’식으로 무리수를 둔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사실상 서비스 론칭 연기는 예정된 수순이라는 시각이다.
현재까지 신한은행은 플랫폼 개발비용으로만 150억원 가량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단계에서 은행 측이 확실한 개발자를 확보하지 못했고, 심지어 명확한 사업 범위조차 정하지 못한 사실까지 드러나 주먹구구식 사업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은행 측은 “마이데이터에 따른 개발자 확보 이슈도 있었고, 개발 공시 과정에서 지연된 부분도 있었다”며 “밝히기는 어렵지만 내부적인 이슈도 있었기 때문에 12월 출시로 변경보고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 음식 주문중개 플랫폼에 이목이 쏠리는 이유는 금융위가 2년여 전 혁신금융서비스 제도인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한 이후, 은행업 외의 부수업무로서 플랫폼 사업 진출을 허용한 첫 번째 사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현행 은행법상 은행 고유업무와 연관성이 부족한 사업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부수업무로 인정하지 않는다. 금융위는 신한은행을 상대로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적용, 소상공인에게는 저렴한 플랫폼 수수료와 정산기간 단축, 은행의 경우 매출데이터 토대의 새로운 금융상품 출시 등의 효과를 기대했다.
은행 측은 대표 모바일플랫폼 ‘쏠(SOL)’과 별개 어플리케이션(앱)에 음식 주문중개 서비스를 탑재할 계획은 변동이 없다고 강조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개발 준비 과정에서 범위가 많이 넓어졌고, 현재 7개 영역으로 나눠 개발 중에 있다”며 “처음부터 개발 기간을 늘려 잡지는 않았고, 서비스 개발이 완료되면 쏠과 별도 앱에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은행 측은 초기 사업 착수시기에 발생한 지연 사유에 대해서는 “밝히기 곤란한 부분”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개발 범위와 시스템 구축 등 당초 예상보가 출시 시기가 길어질 것 같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은행 측이 애초 개발 범위를 제대로 예상하지 못한 점과 현재 앱 개발 단계 등을 알아보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