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투협, 디딤펀드 출시 1년…펀드 규모 2272억원

정세은 인턴 2025-10-21 06:00:00
1년간 전체 평균수익률 12.5% DC·IRP 중심 → 법인자금 유입
디딤펀드 출시후 운용성과 현황(월별 누적 기준) [사진=금융투자협회]
[이코노믹데일리] 금융투자협회는 '디딤펀드'가 출시 1년 동안 다양한 자산배분 전략으로 연금투자자들의 선택권을 넓혔다고 21일 밝혔다.

디딤펀드는 연기금 운용방식과 유사한 자산배분 전략을 활용해 국민들의 장기 연금투자를 돕고 자본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자 지난해 9월 25일 출시된 상품이다. 25개 운용사가 각 사의 자산배분 역량을 집약한 대표상품을 출시해 일반 국민들도 복잡한 자산배분 투자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디딤펀드 출시 후 1년간 상위 10개 펀드 평균수익률은 16.5%, 전체 평균수익률은 12.5%를 기록했다. 

펀드규모는 2272억원까지 성장했다. 자금성격을 보면 출시 초기 개인의 DC(확정기여형)·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 중심에서 법인자금 유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올해 약 280억원이 유입됐는데 이는 디딤펀드의 자산배분 구조와 운용성과가 법인의 자산관리 수요에 부합한 결과로 분석된다.

올해 기준 업권별 판매 비중은 △증권사 77% △은행 15% △보험 6% △기타 2% 순으로 증권사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다만 작년 대비 은행(7% → 15%)과 보험(3% → 6%)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판매채널 다변화가 진행되는 모습이다. 지난 5월에는 디폴트옵션 최초 편입사례가 발생했으며 향후 트랙레코드가 쌓이면서 성과 우수 펀드를 중심으로 추가 편입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투자 접근성과 판매 규모도 함께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딤펀드는 주식 편입한도를 50%로 제한해 퇴직연금 계좌에서 전액 투자가 가능하다. 가입자는 자신의 운용성향에 따라 적립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분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투자자는 실적배당형 상품 투자한도(70%) 외의 잔여 30%를 디딤펀드에 투자해 자산배분을 보완하는 전략도 고려할 수 있다.

이환태 금융투자협회 산업시장본부 본부장은 "출시 1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자산배분형 연금투자의 선택지를 제공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디폴트옵션 편입 지원, 판매채널 다변화,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국민들의 자산배분 연금투자 저변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