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로컬FOCUS] "지역 중기 살려라"… '인천 직구' 확산, 온라인 판로 확대

권석림 기자 2025-08-11 16:03:00
"시민의 인천 제품 구매가 지역 경제 활성화"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사진=인천시]
"지역 중소기업을 살려 인천의 경제를 활성화 하겠다."

인천광역시가 지역 중소기업 지원에 전방위로 나섰다. 온라인 판로 확대 위한 ‘인천직구’ 특별 할인 행사를 대대적으로 진행한다. 인천e몰 7% 적립금 추가 제공 등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하겠다는 전략이다.

11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역 중소 제조기업의 온라인 판로 확대를 위해 운영 중인 오픈마켓 상설관 '인천직구'의 특별 할인 행사를 개최한다. 행사는 지역 구매 활성화를 통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마련됐다.

11번가와 네이버에서 이달 31일까지 진행된다. 행사 기간 동안 ‘인천직구’ 상설관에 입점한 다양한 상품을 대상으로 최대 20%의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소비자는 인천 지역의 우수한 제품을 더욱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아울러 인천시의 자체 온라인 쇼핑몰인‘인천e몰’에서는 상시로 ‘인천ON 상시 기획행사’를 운영한다. 인천직구 입점 상품 구매 시 7% 적립금을 추가 지원한다. 이를 통해 지역기업의 안정적인 매출 확보를 돕는다.

이남주 시 미래산업국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인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구매 촉진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통해 지역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시는 정부와  SK인천석유화학, 협력사와 지속가능한 상생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석유화학 산업 내 노동시장 격차 해소 위한 인천형 상생협력 모델을 본격화한다. 

이와 관련 시는 최근 SK인천석유화학 쥬빌레홀에서 인천 석유화학 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수도권 유일의 석유화학 기업이 있는 인천에서 원청과 협력사 간 임금, 복지, 산업안전 등에서 발생하는 격차를 개선하고 상생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안전, 고용안정, 복리후생, 지역상생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원청·협력사·정부·지자체가 공동의 책임을 나누고 실효성 있는 과제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협약식에는 유정복 인천시장,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노상구 SK인천석유화학 대표를 비롯해  ㈜제이콘, 세이콘(주), ㈜CHM 등 협력사 대표 등이 참석했다.

석유화학 산업은 인천 제조업 부가가치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산업 안전 강화와 근로환경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분야다.

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3월 고용노동부의‘지역주도 이중구조 개선 지원사업’에 선정, 국비를 확보했다. 석유화학 산업의 노동시장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했다.

협약을 통해 각 기관은 인천 석유화학 산업의 지속 가능한 상생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SK인천석유화학(원청사)은 협력사의 복지 기반 마련을 위해 ‘1% 행복나눔기금’을 운영한다. 협력사 근로자들의 휴게·사무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생협력관’을 무상 제공한다. 산업단지 인근 지역의 환경보호와 사고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공헌 활동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1% 행복나눔기금은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매달 기본급의 1%를 기부하면 회사가 동일한 금액의 기부금을 출연하는 1:1 매칭 방식으로 조성돼 협력사 동반성장 및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위해 사용된다.

협력사는 숙련 인력의 장기근속을 위한 근로환경 개선과 함께 신규 근로자의 안정적인 적응을 돕기 위한 멘토링 제도 등을 운영하며 고용안정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

시와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 강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 지원, 신규 채용 및 장기근속을 위한 장려금 지급, 문화생활 프로그램 운영 등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협약이 단순히 상생협력을 선언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기관이 명확한 역할과 책임을 실천해 나감으로써,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 낼 것"이라며 "앞으로도 인천시는 정부와 기업, 지역사회와 함께 지속 가능한 상생협력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