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소속 인천시장애인권익옹호기관(권익옹호기관)은 최근 인천여성가족재단 인천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센터)와 ‘디지털성범죄 피해 예방과 회복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두 기관은 협약에 따라 디지털 성범죄 피해 장애인 발생 시 신고, 조사, 피해 회복 지원 등 전 과정을 협업하기로 했다.
권익옹호기관은 학대 신고 접수와 현장조사, 응급보호, 학대 사례판정 후 필요 시 고소·고발도 진행한다.
센터도 상담, 피해 촬영물 삭제, 사건 지원에 나선다. 사건 지원은 법정 진술이나 재판 등에 동행하고 피해자 대신 재판을 모니터링해 그 내용을 공유하는 역할을 말한다. 센터 자문 변호사를 활용한 법률지원도 가능하다.
또 피해자 회복 지원 과정도 협력한다. 센터가 운영 중인 정신건강의학과 검사, 진료, 상담 등 의료 지원과 심리상담비 지원 제도를 활용한다.
피해 장애인이 원하면 장·단기 치유 프로그램에도 참여한다. 여기에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예방 교육과 홍보 활동도 함께한다는 계획이다.
류혜진 인천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 팀장은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 접수 건수 중 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로, 장애인 분야 전문가의 협업이 필요할 때 권익옹호기관과 협약을 하게 됐다”며 “범죄가 점차 교묘해지고 있어 피해를 입었더라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협력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권오영 인천시장애인권익옹호기관장은 “디지털 성범죄는 새로운 유형으로 접근 방법, 대응 범위 등 장애인 학대조사 과정에 어려움이 있어 센터의 도움이 절실하다”며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성범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장애인 역시 피해갈 수 없다. 센터와 힘을 모아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2017년 개소해 장애인 학대 피해 신고접수와 현장조사, 응급보호, 피해장애인과 가족, 학대행위자 상담과 사후관리 등을 맡고 있다. 학교, 관공서, 장애인 시설 등을 대상으로 장애인 학대 예방 교육도 한다.
인천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는 인천여성가족재단 소속 시설로 2021년 개소했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기관이다. 상담, 삭제 지원, 사건 지원, 치료비 지원,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