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부동산 PF 사업장 평가 결과 최종 등급 조율을 마쳤다. 각 금융사가 지난 5일까지 제출을 마친 평가 결과 및 금감원 내부 기준을 기반으로 이뤄졌다.
앞서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기존 3단계에서 4단계인 △양호 △보통 △유의 △부실 우려로 세분화했다. 부동산 PF 연착륙을 위해 부실 사업장 정리에 나서면서 옥석 가리기를 본격화한 것이다. 금감원은 230조원 규모 부동산 PF 사업장 중 5~10% 상당이 실제 부실 우려가 있을 것으로 판단, 구조 조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경·공매가 필요한 사업장은 약 2~3%로 예측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새롭게 구축한 평가 기준을 적용하면 부실 우려 등급 사업장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고금리에 따른 경기 악화로 지난해보다 올해 들어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부동산 PF 사업장 평가 시 '유의' 대신 '부실 우려' 등급을 받는 사업장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새마을금고나 저축은행 등에서 부실 우려 비중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동산 PF발 부실 채권이 늘면서 리스크 관리 차원으로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충당금 추가 적립 부담에 내년 조합원 대상 배당금 지급 시 차질이 생기는 금고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조합원 이탈 및 금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중앙회 측은 부동산 경기 회복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보수적인 운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감독 역할과 함께 건전성 관리에 집중할 방침이다.
실제 지난해 6월 말 새마을금고는 뱅크런 위기를 맞으면서 연체율이 연초 5% 초반에서 상반기 말 5.41%까지 오른 바 있다. 같은 해 금고 부실 논란까지 겹치며 7월 한 달에만 17조원이 넘게 빠져나가기도 했다. 이후 정부가 직접 예금 전액 보호를 공언하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새마을금고 부실 채권 1조원 규모를 매입하면서 급한 불을 껐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는) 올해 건전성 관리가 중요한 만큼 보수적인 운영을 바탕으로 한 신뢰 회복이 우선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