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유환의 에너지 이야기] 1g당 물 20만t을 데우는 '우라늄'···주요국 물밑 확보 경쟁 치열

유환 기자 2024-07-21 07:00:00
원전 암흑기 지나고 에너지원으로 각광 탈워전 주도했던 유럽도 기조 돌아서 우라늄 두고 프·러 전쟁 거론되기도
우라늄 광석 모습[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단 1g으로 물 20만t을 데울 수 있으며 석탄 3t 또는 석유 10드럼과 맞먹는 에너지를 내는 원료. 바로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로 쓰이는 우라늄이다. 탈원전 기조가 저물고 원전 증설 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세계 주요국의 우라늄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우라늄은 1g당 약 20조㎈의 열량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우라늄을 연료로 쓰기 위해서는 손가락 한 마디 크기로 우라늄을 정제한 물체인 펠렛을 만들어야 한다. 이후 펠렛 356개를 모아 1개 연료봉으로 만들며, 연료봉 200~300가닥을 모으면 원전의 연료 집합체를 구성한다. 1개 펠렛에 들어가는 우라늄은 5.6g으로 4인 가구가 8개월가량 쓸 수 있는 에너지양이다.

원전은 효율적인 에너지원이지만 냉전 종식과 함께 하향세를 걸어왔다. 1991년 소비에트연방이 붕괴한 후 세계적 핵무기 감축이 이뤄졌다.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은 원전에서 나오는 사용 후 핵연료를 재처리하면 얻을 수 있는데, 핵무기 자체가 줄어드니 원전의 필요성도 덩달아 줄었다.

이런 상황은 최근 들어서며 급변했다. 우선 원전에서 만들던 전력을 대체할 수 있을 걸로 보였던 태양광과 풍력 발전 등 재생에너지 증가세가 예상보다 느렸다. 이에 반해 전기차가 늘어나고 인공지능(AI)이 개발되며 전력 사용량은 폭증세를 탔다. 지난해 세계원자력협회(WNA)는 전력 사용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전 용량을 3배 늘려야 한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원전 증설 추세에 맞춰 주요국의 우라늄 확보 경쟁도 노골적으로 변하고 있다. 일례로 지난 4월 서아프리카 니제르 군부가 러시아를 업고 쿠데타를 일으키며 프랑스에 대한 우라늄 수출을 금지하자, 프랑스는 우크라이나 파병론을 꺼내며 강대강 대치 국면을 맞기도 했다.

중국도 우라늄 광산을 사재기하고 있다. 중국우라늄공사(CNUC)와 중국광핵그룹(CGN) 등 중국 내 국영 회사들은 지난해 중앙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우라늄 광산 사업권을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한 지출 규모를 파악할 순 없지만 최소한 수억 달러가 사용됐을 걸로 보인다. 중국은 2060년까지 원전을 150기로 늘리며 4400억 달러(약 52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