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10대 건설사, 한여름 분양대전 예고... 지방에만 1만여가구 푼다

한석진 기자 2024-06-27 09:00:00
지방에 있는 한 아파트 단지 전경[사진=아주경제]
 
10대 건설사들이 올 여름 분양시장에 2만여가구의 브랜드아파트 공급을 예고해 주목된다.
 
갈수록 브랜드 선호 현상이 짙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에서만 전체 물량의 절반인 1만여가구가 나올 예정이라 눈길을 끈다.
 
2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 여름(6~8월) 전국 분양시장에는 10대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 2만188가구가 일반분양(6월 1순위 청약 진행 완료 단지 제외, 10대 건설업체 컨소시엄 포함)될 예정이다.
 
이 중 지방에서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 1만943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10대 건설사 아파트는 전국적으로 수요자들의 높은 선호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침체기가 더 크게 이어지고 있는 지방에서의 선호도가 짙어지는 추세다.
 
시장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이른바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수요자들이 신뢰도, 안정성, 상품성 등에서 비교 우위에 있는 10대 건설업체 브랜드아파트를 주목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올해 지방권역 청약시장에서는 1군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가 꾸준한 강세를 보였다.
 
부동산R114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6월까지 지방에는 한 자릿수 이상의 1순위 경쟁률을 기록한 31개 단지 중 61%에 해당하는 19개 단지가 10대 건설사의 아파트로 조사됐다.
 
특히 ‘서신 더샵 비발디’(55.56대1),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1차’(평균 52.58대1), ‘더샵 탕정인피티니시티 2차’(평균 30.4대 1), ‘에코시티 더샵 4차’(평균 191.21대 1), ‘대구 범어 아이파크’(평균 15.32대 1), ‘양정 롯데캐슬 프론티엘’(평균 7.9대 1) 등은 치열한 청약경쟁률을 보이며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실감케 하기도 했다.
 
'더샵 리오몬트' 투시도[사진=포스코이앤씨]
한편 올여름 지방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이달 중 부산 사상구 엄궁3구역 재개발을 통해 ‘더샵 리오몬트’를 분양한다.
 
사상구에서는 처음으로 공급되는 더샵 브랜드 아파트이기도 하다.
 
지상 최고 29층, 11개동, 1305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된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전용면적 59·72·84㎡, 866가구다. 도보 5분거리에 사상~하단선 엄궁역이 2026년 개통을 앞두고 있고, 주변에는 서부산 행정복합타운(2027년 예정) 등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 청주, 아산 탕정 등 청약 흥행이 이어진 지역에서의 후속 공급도 이어진다.
 
먼저 청주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이 가경동 일대에 ‘힐스테이트 청주센트럴2차’를 공급할 예정이다. 258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주상복합 아파트다.
 
또 아산 탕정에서는 대우건설이 6월 1416가구의 대단지 ‘탕정 푸르지오 센터파크’를 선보인다.
 
순천그랜드파크자이 투시도[사진=GS건설]
이 밖에 주요 단지로는 GS건설이 전남 순천시 풍덕동 일원에 있는 ‘순천그랜드파크자이’를 24일부터 청약에 돌입했다.
 
순천그랜드파크자이는 지하 2층 지상~최고 29층 9개동 전용면적 84~206㎡, 997가구다.
 
분양 관계자는 “견본주택 오픈 이후 고객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고, 상품성이 호평을 받으며 관심이 뜨거운 상황”이라며 “입주민 분들의 주거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현대건설은 6월 구미시에서 ‘힐스테이트 구미더퍼스트’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주거선호도 높지만, 공급이 부족한 봉곡동 일대에 조성되는 아파트로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5개동, 전용면적 84~162㎡, 491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어 대우건설은 7월 대전 도안 2단계 분양의 시작을 알리는 ‘도안 푸르지오 디아델’ 1514가구를 선보이고, DL이앤씨는 8월 대구 남구 명덕지구 재개발을 통해 1758가구의 ‘e편한세상 명덕역 퍼스트마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브랜드의 중요성은 각종 설문 조사에서 아파트 구입 시 최우선 고려 요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방 역시 이러한 흐름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계속되는 분양가 상승세에 청약시장에 진입하려는 수요자들까지 더해져 여름 분양시장에도 큰 인기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