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일주일에 이틀뿐인 꿀 같은 주말, 직장인들이 재충전하는 시간에도 산업 일선은 분주히 움직인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소식이 쏟아지는 요즘, <뷰파인더>는 바쁜 일상 속에 스쳐 지나간 산업계 뉴스나 취재 현장에서 보고 들은 시시콜콜한 얘깃거리를 들여다 본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미국 인공지능(AI) 단체 오픈AI의 대화형 서비스 '챗GPT'를 활용해 국내 기업 경영 전망을 분석한 내용이 화제다. 대한상의는 100대 상장 기업 최고경영자(CEO)가 발표한 신년사 등을 토대로 기회 요인과 위험 요인을 챗GPT에 물었다. 그 결과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사안을 척척 정리했다.
◆챗GPT, 잘 쓰면 전문가 수준 결과물 보여줘
대한상의가 챗GPT에게서 도출한 답이 주목받은 이유는 전문가 수준이어서다. 실제 미국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준)이 과거 연준의 발표문을 GPT에 넣어 금리 정책 기조를 판단하게 한 결과 전문가가 내놓은 분석과 거의 일치했다. 미 플로리다대학은 기업 관련 기사 제목을 GPT에 입력, GPT에게 모의 주식 거래를 시켜 1년간 550% 수익률을 달성했다.
이처럼 챗GPT의 '똑똑한' 지능을 제대로 활용한 사례에는 공통점이 있다. 기초 자료를 풍부하게 제시한 것이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리치몬드 연준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나온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을 GPT에 제공하고 매파(강경)인지, 비둘기파(온건)인지 성향을 판단하게 했다. 또한 플로리다대학은 2021~2022년 기업 관련 뉴스 헤드라인 6만7000건을 통해 매일 주가 수익성을 예측하게 했다.
답을 도출하기까지 과정, 즉 질문도 결과물의 질을 결정했다. 대한상의는 GPT-4 엔진 기반 챗GPT를 분석 도구로 사용했는데 시총 100대 기업의 임직원 대상 메시지, 신년사, 시무식 인사말 등을 재료로 썼다. 그리고 크게 1·2차에 걸쳐 분석을 진행했다.
대한상의가 공개한 예시문을 살펴보면 요청 내용을 담은 구문이 상당히 체계적이고 구체적이었다. 마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짜는 것과 비슷했다.
대한상의는 먼저 작업(Task)의 종류를 정의했다. 그리고 1차 요청 사항으로 대상 기업의 기회·위험 요인을 3가지씩 뽑고 그 이유를 설명해 달라고 했다. 2차로는 해당 기업이 전망하는 국내·외 경제 상황을 추출하라고 주문했다. 여기서 대한상의는 '2024년 전망이 2023년보다 좋지 않다', 또는 '좋다', '알 수 없다' 등 3가지 선택지를 제시하면서 이 중 하나를 답으로 요청했다.
그러자 챗GPT는 기회·위험 요인을 각각 3가지씩 내놨다. 기회 요인은 △디지털 전환과 AI의 적시 도입 △탄소중립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조 강화 △글로벌 시장 확장이었다. 위험 요인은 △공급망 재편과 지정학적 리스크 △고물가·고환율·고유가 △디지털 전환과 AI 도입 지체였다. 이와 함께 기업의 경기 전망을 수치화해 보여줬다.
챗GPT는 반도체, 이차전지, 조선, 금융, 제약·바이오, 화학, 자동차 업종에 대한 분석 결과도 내놨다. 한 예로 이차전지와 관련해 '전기차의 캐즘(Chasm·시장이 초기 형성 시기를 마치고 대중화 단계로 넘어가기 전 일시 정체 또는 후퇴하는 현상)'을 위험 요인으로 꼽기도 했다. 대한상의는 분석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각 기업별로 10회씩 문답을 반복했다고 밝혔다.
◆'맛집 찾기' 실패 않으려면…AI의 사고방식 잘 알아야
대한상의의 이번 실험은 챗GPT와 같은 대화형 AI를 분석 도구로 유용하게 쓰려면 질문자가 AI의 사고방식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맛집 알려줘'보다는 '점심 메뉴를 추천해줘, 그런데 서울시청 반경 300m 안에 있는 한국 음식점 중 ○○앱에서 평점이 5점 만점에 4점 이상인 곳을 찾아줘'라고 요청해야 맛있는 점심을 먹을 확률을 높인다는 얘기다.
실제 대한상의에서도 이번 분석을 진행할 때 챗GPT 활용에 능숙한, '갓 대학을 졸업한 젊은 직원'이 질문을 작성했다고 전했다. 해당 직원은 재학 중 챗GPT를 자주 이용했다고 한다.
◆챗GPT, 잘 쓰면 전문가 수준 결과물 보여줘
대한상의가 챗GPT에게서 도출한 답이 주목받은 이유는 전문가 수준이어서다. 실제 미국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준)이 과거 연준의 발표문을 GPT에 넣어 금리 정책 기조를 판단하게 한 결과 전문가가 내놓은 분석과 거의 일치했다. 미 플로리다대학은 기업 관련 기사 제목을 GPT에 입력, GPT에게 모의 주식 거래를 시켜 1년간 550% 수익률을 달성했다.
이처럼 챗GPT의 '똑똑한' 지능을 제대로 활용한 사례에는 공통점이 있다. 기초 자료를 풍부하게 제시한 것이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리치몬드 연준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나온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을 GPT에 제공하고 매파(강경)인지, 비둘기파(온건)인지 성향을 판단하게 했다. 또한 플로리다대학은 2021~2022년 기업 관련 뉴스 헤드라인 6만7000건을 통해 매일 주가 수익성을 예측하게 했다.
답을 도출하기까지 과정, 즉 질문도 결과물의 질을 결정했다. 대한상의는 GPT-4 엔진 기반 챗GPT를 분석 도구로 사용했는데 시총 100대 기업의 임직원 대상 메시지, 신년사, 시무식 인사말 등을 재료로 썼다. 그리고 크게 1·2차에 걸쳐 분석을 진행했다.
대한상의가 공개한 예시문을 살펴보면 요청 내용을 담은 구문이 상당히 체계적이고 구체적이었다. 마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짜는 것과 비슷했다.
대한상의는 먼저 작업(Task)의 종류를 정의했다. 그리고 1차 요청 사항으로 대상 기업의 기회·위험 요인을 3가지씩 뽑고 그 이유를 설명해 달라고 했다. 2차로는 해당 기업이 전망하는 국내·외 경제 상황을 추출하라고 주문했다. 여기서 대한상의는 '2024년 전망이 2023년보다 좋지 않다', 또는 '좋다', '알 수 없다' 등 3가지 선택지를 제시하면서 이 중 하나를 답으로 요청했다.
그러자 챗GPT는 기회·위험 요인을 각각 3가지씩 내놨다. 기회 요인은 △디지털 전환과 AI의 적시 도입 △탄소중립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조 강화 △글로벌 시장 확장이었다. 위험 요인은 △공급망 재편과 지정학적 리스크 △고물가·고환율·고유가 △디지털 전환과 AI 도입 지체였다. 이와 함께 기업의 경기 전망을 수치화해 보여줬다.
챗GPT는 반도체, 이차전지, 조선, 금융, 제약·바이오, 화학, 자동차 업종에 대한 분석 결과도 내놨다. 한 예로 이차전지와 관련해 '전기차의 캐즘(Chasm·시장이 초기 형성 시기를 마치고 대중화 단계로 넘어가기 전 일시 정체 또는 후퇴하는 현상)'을 위험 요인으로 꼽기도 했다. 대한상의는 분석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각 기업별로 10회씩 문답을 반복했다고 밝혔다.
◆'맛집 찾기' 실패 않으려면…AI의 사고방식 잘 알아야
대한상의의 이번 실험은 챗GPT와 같은 대화형 AI를 분석 도구로 유용하게 쓰려면 질문자가 AI의 사고방식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맛집 알려줘'보다는 '점심 메뉴를 추천해줘, 그런데 서울시청 반경 300m 안에 있는 한국 음식점 중 ○○앱에서 평점이 5점 만점에 4점 이상인 곳을 찾아줘'라고 요청해야 맛있는 점심을 먹을 확률을 높인다는 얘기다.
실제 대한상의에서도 이번 분석을 진행할 때 챗GPT 활용에 능숙한, '갓 대학을 졸업한 젊은 직원'이 질문을 작성했다고 전했다. 해당 직원은 재학 중 챗GPT를 자주 이용했다고 한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