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브레인[사진=현대모비스]
[데일리동방] 현대모비스는 자사가 직접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인 '엠브레인'을 활용하면 졸음운전의 위험성을 3분의 1까지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생체신호를 활용한 자동차 사고 예방 기술이 잇따르는 가운데 버스·상용차의 대형 교통사고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엠브레인은 지난해 현대모비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뇌파 기반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이어셋을 착용하면 귀 주변의 뇌파를 활용해 운전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해 주의력이 떨어지면 시각·청각·촉각의 알림 기능을 통해 주의력 회복을 도와준다.
현대모비스는 경기연구원과 함께 지난 1년간 엠브레인을 경기도 공공버스에 시범적용해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했다.
엠브레인을 착용한 운전자는 졸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식후 시간대에 부주의함을 최대 30% 가까이 줄일 수 있었다. 또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고속도로에서도 운전자 부주의를 20%가량 줄였다.
졸음운전이나 운전자가 한눈을 파는 상황에서도 빠르게 전방을 주시하도록 돕는 효과도 입증했다. 엠브레인을 착용하면 최대 2.3초 만에 주의력을 회복했다. 그렇지 않은 경우인 6.7초보다 약 3배 가까이 빠르게 주의력 회복을 도왔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엠브레인 실증사업의 성과가 실제 교통 상황에서 뇌파 신호가 운전자의 건강상태와 주행환경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 유효한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점에 의미를 뒀다.
또 글로벌 경쟁사들은 현재 동공·맥박 등 상대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생체 신호 기술을 활용한 차량용 헬스케어 기술을 선보이고 있지만, 현대모비스는 그보다 측정이 어려운 뇌파 신호를 활용한 기술과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차량용 헬스케어 분야는 실제 도로를 주행하며 획득한 데이터가 핵심 경쟁력이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말까지 총 300여 대의 공공버스에 엠브레인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실증범위를 넓히고, 딥러닝 기술을 도입해 분석작업에 속도를 내려는 행보다.
이를 통해 향후 PBV(목적기반모빌리티) 기반 완전자율주행 단계에서는 탑승객들의 생체 신호를 바탕으로 맞춤형 헬스케어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현재 차량용 헬스케어 부문에서 글로벌 경쟁사들은 동공이나 맥박처럼 상대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생체신호 기술을 활용한 자율주행 신기술을 선보이고 있다”라며 “반면 현대모비스는 한 단계 높은 뇌파 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기술 개발에 이어 대규모의 데이터까지 확보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③] 정의선 품질 리더십 시험대...대규모 리콜에 그늘 진 최대 실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06/20251106105223942248_388_13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