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SK텔레콤이 모바일 전자 청구서 ‘빌레터’를 통해 지난 10년간 약 7만 7000그루의 나무를 심은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SKT가 식목일을 맞아 5일 공개한 빌레터의 환경 보전 성과에 따르면, 지난 2012년 4월 해당 서비스를 시작한 후 청구서의 전자화를 통해 10년간 약 7만 7000그루에 해당하는 종이 소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 3구의 가로수(약 6만 3000그루)보다 많은 수치다.
현재 빌레터 이용 고객은 1250만명으로 SKT고객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SKT는 빌레터 이용 고객이 늘어날수록 종이 소비 및 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종이 청구서 제작 및 운송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과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SKT는 전자 청구서 이용 고객을 확대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2.0 경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달 25일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SKT는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AI 서비스 컴퍼니로 진화하고, 본업과 연계된 ESG 2.0 활동을 통해 고객에게 사랑받는 회사로 거듭나 기업가치를 성장시킬 것이라고 밝혔었다.
전자 청구서 전환을 장려하기 위해 SKT는 5일부터 빌레터 신청 고객에게 ‘행복크레딧’ 기부 포인트를 제공하기로 했다. 행복크레딧은 SKT가 운영하는 ESG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이다. 고객이 친환경 활동이나 사회 공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면 결제금액 중 일부를 기부 포인트로 적립하고, SKT는 동일 금액을 기부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SKT는 고객에게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의 통신 요금 청구서를 제외한 신용카드·지방세·도시가스 등의 전자 청구서 신규 신청 한 건당 500크레딧의 행복크레딧을 제공할 예정이다. 빌레터를 통해 받는 신용카드·지방세 등의 전자 청구서는 무료로 제공되고 있어 고객에게 별도 요금이 청구되지 않는다.
장홍성 SKT 광고/데이터 CO담당은 “모바일 전자 청구서 빌레터로 ESG 가치를 창출한 것처럼 SKT는 앞으로도 서비스 전반에 걸쳐 친환경·사회적 책임 등 ESG 2.0 경영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SKT가 식목일을 맞아 5일 공개한 빌레터의 환경 보전 성과에 따르면, 지난 2012년 4월 해당 서비스를 시작한 후 청구서의 전자화를 통해 10년간 약 7만 7000그루에 해당하는 종이 소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 3구의 가로수(약 6만 3000그루)보다 많은 수치다.
현재 빌레터 이용 고객은 1250만명으로 SKT고객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SKT는 빌레터 이용 고객이 늘어날수록 종이 소비 및 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종이 청구서 제작 및 운송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과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SKT는 전자 청구서 이용 고객을 확대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2.0 경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달 25일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SKT는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AI 서비스 컴퍼니로 진화하고, 본업과 연계된 ESG 2.0 활동을 통해 고객에게 사랑받는 회사로 거듭나 기업가치를 성장시킬 것이라고 밝혔었다.
전자 청구서 전환을 장려하기 위해 SKT는 5일부터 빌레터 신청 고객에게 ‘행복크레딧’ 기부 포인트를 제공하기로 했다. 행복크레딧은 SKT가 운영하는 ESG 포인트 기부 프로그램이다. 고객이 친환경 활동이나 사회 공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면 결제금액 중 일부를 기부 포인트로 적립하고, SKT는 동일 금액을 기부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SKT는 고객에게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의 통신 요금 청구서를 제외한 신용카드·지방세·도시가스 등의 전자 청구서 신규 신청 한 건당 500크레딧의 행복크레딧을 제공할 예정이다. 빌레터를 통해 받는 신용카드·지방세 등의 전자 청구서는 무료로 제공되고 있어 고객에게 별도 요금이 청구되지 않는다.
장홍성 SKT 광고/데이터 CO담당은 “모바일 전자 청구서 빌레터로 ESG 가치를 창출한 것처럼 SKT는 앞으로도 서비스 전반에 걸쳐 친환경·사회적 책임 등 ESG 2.0 경영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