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종각역 태양의 정원 광장에서 열린 '2023 종로구 온오프 청년취업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한 기업의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금융권 졸속 채용 정황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금융당국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투명한 채용 안내" 기치를 바로 세워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당장 올해 하반기부터 체계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 본지 6월 29일자 [단독] 당국 등쌀에 금융권 "4700명 선발"…실제 채용 절반도 못 미쳤다]
28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이번 논란을 가리켜 '보여주기식 일처리'가 낳은 혼란이라고 비판했다. 청년 일자리 실적을 내야 한다는 압박 속에서 금융위·은행들이 채용계획을 졸속 수합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미다.
장 의원은 "취업준비생을 희망고문하지 않기 위해 정보부터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며 "채용정보 전반에 대한 투명한 공개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고 국회에서도 관련법이 발의된 만큼 제대로 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국 대책을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사무국장은 "6년 전 금융권에 만연한 채용비리 사태로 기만당한 청년들이 또 다시 농락당했다"며 이번 사태에 대해 "(금융권이) 정부에 잘 보이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청년들을 이용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이 법안은 구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근로조건을 채용공고에 표기함으로써 구직자 부담을 줄이고 알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강형구 한양대학교 파이낸스경영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는 '투명한 정보 공개'라는 국가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취준생에게 큰 실망감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고 일갈했다.
28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이번 논란을 가리켜 '보여주기식 일처리'가 낳은 혼란이라고 비판했다. 청년 일자리 실적을 내야 한다는 압박 속에서 금융위·은행들이 채용계획을 졸속 수합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미다.
장 의원은 "취업준비생을 희망고문하지 않기 위해 정보부터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며 "채용정보 전반에 대한 투명한 공개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고 국회에서도 관련법이 발의된 만큼 제대로 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국 대책을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사무국장은 "6년 전 금융권에 만연한 채용비리 사태로 기만당한 청년들이 또 다시 농락당했다"며 이번 사태에 대해 "(금융권이) 정부에 잘 보이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청년들을 이용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이 법안은 구직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근로조건을 채용공고에 표기함으로써 구직자 부담을 줄이고 알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채용 예상인원을 비롯해 임금수준(상한액·하한액 포함)·소정근로시간 등을 명시케 하고 이를 어길 시 최대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이다.
강형구 한양대학교 파이낸스경영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는 '투명한 정보 공개'라는 국가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취준생에게 큰 실망감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고 일갈했다.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